본문 바로가기
▣ 이슈 ▣

대한민국 정부 수립부터 현재까지, 역대 대통령과 헌법 개정, 숨겨진 이야기

by 엔젤투 2024. 12. 16.

1945년 해방 이후, 대한민국은 격동의 역사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습니다. 🇰🇷 수많은 정치적 변화와 헌법 개정 속에서 대한민국은 어떻게 변화해 왔을까요? 🤔 대한민국 정부 수립부터 현재까지, 역대 대통령과 헌법 개정, 그 이면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함께 들려드립니다. 💯

 

대한민국 정부 수립부터 현재까지

 

 

📌 요점 정리

 

1. 🇺🇸 미군정기 (1945~1948)

  • 해방, 혼란, 이념 갈등 🇰🇷😥
  • 남북 분단, 대한민국 정부 수립 💔🎉
  • 이승만 초대 대통령 선출 👴

2. 👴 이승만 정권 (1948~1960)

  • 토지 개혁, 친일파 청산 🏞️
  • 한국 전쟁 발발, 휴전 💣🇰🇷
  • 발췌 개헌, 사사오입 개헌 (장기 집권) 🗳️
  • 3.15 부정선거, 4.19 혁명, 하야 💥

3. 👨‍⚖️ 장면 내각 (1960~1961)

  • 의원내각제, 양원제 도입 🏛️
  • 사회 혼란, 경제난, 5.16 쿠데타 😥💥

4. 👨‍✈️ 박정희 정권 (1961~1979)

  • 경제 개발, 고도 성장 🚀
  • 3선 개헌, 유신 헌법 (장기 집권) 🗳️
  • 7.4 남북 공동 성명, 유신 독재 🤝🚫
  • 10.26 사태, 사망 💥

5. 👨‍💼 유신 체제 이후 (1979~현재)

  • 최규하, 12.12 쿠데타, 전두환 👨‍💼💥
  • 서울의 봄, 5.18 민주화운동 🌻
  • 8차 개헌, 6월 항쟁, 9차 개헌 (5년 단임 직선제) 헌법🇰🇷
  • 민주주의 발전, 경제 성장 ✨

6. 📌 역대 대통령 선후 관계

  • 이승만 - 윤보선 - 박정희 - 최규하 - 전두환 - 노태우 - 김영삼 - 김대중 - 노무현 - 이명박 - 박근혜 - 문재인 - 윤석열

7. 🏛️ 대한민국 공화국

  • 제1공화국 - 제2공화국 - 제3공화국 - 제4공화국 - 제5공화국 - 제6공화국

 

1. 🇺🇸 미군정기 (1945년 ~ 1948년)

 

해방과 혼란, 그리고 새로운 시작

  • 1945년 8월 15일, 우리 민족은 드디어 해방을 맞이했지만, 기쁨도 잠시, 미군정 통치 아래 놓이게 됩니다.
  • 이 시기에는 좌익과 우익의 이념 갈등이 심화되었고, 모스크바 삼상회의(1945), 좌우합작 운동(1946), 남북 협상(1948) 등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있었지만, 결국 남북 분단이라는 현실에 직면하게 됩니다. 💔
  • 1948년 5월 10일, 남한에서만 총선거가 실시되었고, 7월 17일에는 제헌 헌법이 제정, 8월 15일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습니다. 🎉
  • 제헌국회에서 이승만이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면서 대한민국의 역사가 시작됩니다.

 

2. 👴 이승만 정권 (1948년 ~ 1960년)

 

광고

 

건국과 전쟁, 그리고 독재의 그림자

  • 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기, 국민들은 토지 개혁과 친일파 처벌을 강력하게 요구했습니다. 농지개혁법(1949)을 통해 토지 소유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지만, 친일파 청산 문제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. 😥
  • 1950년 6월 25일,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 전쟁이 발발합니다. 💣 3년간의 치열한 전쟁은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으로 마무리되었지만, 한반도는 남북으로 완전히 분단되고, 수많은 인명 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남겼습니다.
  • 이승만 정권은 전쟁 중에도 권력 유지를 위해 헌법을 개정합니다.
  • 발췌 개헌 (1차 개헌, 1952년): 부산 정치 파동을 통해 대통령 직선제로 개헌하여 이승만은 재선에 성공합니다.
  • 사사오입 개헌 (2차 개헌, 1954년):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 제한을 철폐하여 장기 집권의 발판을 마련합니다.
  • 1960년 3월 15일, 3.15 부정선거를 통해 장기 집권을 시도했지만, 4.19 혁명으로 이승만은 하야하고, 제1공화국은 막을 내립니다.

 

3. 👨‍⚖️ 장면 내각 (1960년 ~ 1961년)

 

짧았던 민주주의의 봄

  • 4.19 혁명 이후, 3차 개헌을 통해 의원내각제와 양원제를 도입하여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습니다.
  • 총선에서 민주당이 압승을 거두고, 윤보선 대통령과 장면 총리 중심의 장면 내각이 출범했습니다.
  • 하지만, 장면 내각은 사회 혼란과 경제난 속에서 개혁 정책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고, 1년 만에 5.16 군사 쿠데타로 무너지게 됩니다.

 

4. 👨‍✈️ 박정희 정권 (1961년 ~ 1979년)

 

경제 성장과 유신 독재

  • 1961년 5월 16일, 박정희 소장을 중심으로 한 군사 쿠데타가 발생하고, 2년간의 군정을 거쳐 1963년 박정희는 대통령에 당선됩니다.
  • 박정희 정권은 경제 개발 계획을 추진하여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고도 경제 성장을 이루었지만, 동시에 장기 집권을 위한 독재 체제를 구축합니다.

 

5차 개헌 (1962년):

  • 직선제 개헌.

 

3선 개헌 (6차 개헌, 1969년):

  • 대통령 3선 연임 허용.

 

유신 헌법 (7차 개헌, 1972년):

  • 통일주체국민회의를 통한 대통령 간선제, 대통령 임기 6년, 연임 제한 없음.
  • 1972년 7.4 남북 공동 성명을 통해 남북 화해 분위기를 조성하기도 했지만, 유신 체제 아래에서 민주주의는 억압되었고, 인권 탄압이 자행되었습니다.

 

10-26

  • 1979년 10월 26일, 10.26 사태로 박정희가 사망하면서 18년간의 장기 집권이 막을 내립니다.

 

5. 👨‍💼 유신 체제 이후 (1979년 ~ 현재)

 

민주화와 새로운 도전

  • 박정희 사망 후, 최규하가 대통령에 취임했지만, 12.12 군사 쿠데타로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정권을 장악합니다.
  • 1980년 서울의 봄, 5.17 비상계엄 확대, 5.18 광주 민주화 운동 등 격동의 시기를 거쳐 전두환 정권은 8차 개헌 (대통령 간선제, 임기 7년 단임)을 통해 장기 집권을 시도합니다.
  • 1987년 6월, 민주화를 요구하는 6월 항쟁으로 전두환 정권은 직선제 개헌을 약속하고, 9차 개헌을 통해 5년 단임 직선제가 확립됩니다.
  • 이후, 노태우, 김영삼, 김대중, 노무현, 이명박, 박근혜, 문재인, 윤석열 정권을 거치며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경제 성장을 이어왔습니다. 물론, 각 정권마다 정치, 경제, 사회적으로 다양한 성과와 과제를 남겼습니다.

 

6. 📌 역대 대통령 선후 관계

 

이승만 (1~3대) - 윤보선 (4대) - 박정희 (5~9대) - 최규하 (10대) - 전두환 (11~12대) - 노태우 (13대) - 김영삼 (14대) - 김대중 (15대) - 노무현 (16대) - 이명박 (17대) - 박근혜 (18대) - 문재인 (19대) - 윤석열 (20대)

 

 

 

7. 🏛️ 대한민국 공화국

 

제1공화국 (이승만) - 제2공화국 (장면 내각) - 제3공화국 (박정희) - 제4공화국 (유신 체제) - 제5공화국 (전두환) - 제6공화국 (1987년 이후)